5.1 소개 성별, 결혼여부 등과 같은 질적 또는 범주형 요인들이 회귀분석에서 반응변수의 변화를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한 예측변수 역할을 할 때가 있다. 이런 질적요인들을 예측변수로 이용할 경우 이들은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시변수indicator variable 또는 가변수dummy variable 의 형식으로 표현된다. 가변수들은 관측개체가 취하는 질적 상태에 따라 0 또는 1의 두 가지 값을 갖는 경우가 많다. 이 두 가지 가능한 값은 범주의 양적 순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, 단지 관측개체가 속하는 범주나 집단을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. 5.2 급료조사 데이터 이 데이터는 어떤 회사에 근무하는 컴퓨터 전문인들의 급료조사로부터 얻은 것이다. 이 조사의 목적은 급료의 차이를 결정하..